본문 바로가기
프랑스

드뷔시 음악 분석 - 러시아 민속선율의 아버지 보로딘으로부터 영향

by 양팽 2025. 5. 1.
반응형

프랑스 인상주의의 대표 작곡가인 드뷔시는 화려한 화성과 자유로운 형식으로 잘 알려져 있지만, 그의 음악에는 러시아 작곡가, 특히 보로딘을 비롯한 민족주의 음악가들의 영향을 깊게 받았습니다. 그렇다면 보로딘은 누구이고 어떤 음악을 하는 사람이었을까요?

 

보로딘의 음악 세계와 민족주의적 색채

알렉산드르 보로딘(Alexander Borodin, 1833–1887)은 러시아 국민악파 ‘5인조’ 중 한 명이었습니다. 

러시아 국민악파 5인조 (Могучая кучка; The Five or Mighty Handful)
밀리 발라키레프, 모데스트 무소르그스키, 세자르 큐이,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 그리고 알렉산드르 보로딘 

 

보로딘의 본업은 화학자였지만 음악에서도 놀라운 성과를 이룬 작곡가였어요. 그의 대표작으로는 오페라 ‘이고르 공’, 교향시 ‘중앙아시아의 초원에서’, 그리고 현악 사중주 제2번이 있습니다. 보로딘의 음악은 전통적인 서구 클래식의 형식에서 벗어나, 러시아 고유의 민속 선율과 리듬을 강조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그의 음악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요소는 러시아 민속 음악 특유의 선율적 흐름과 리듬의 불규칙성입니다. 이는 서양 고전주의의 정형화된 구조에서 벗어나 자연스럽고 유기적인 흐름을 만드는데요. 예를 들어 ‘중앙아시아의 초원에서’에서는 반복적이면서도 점점 진화하는 선율을 통해 드넓은 대지의 정서를 음악으로 표현했습니다. 보로딘의 음악에는 서양의 화성학적 논리보다는 감정과 민족적 정체성을 담아내려는 시도가 분명히 나타나는듯 합니다.

이러한 특성은 후대의 많은 작곡가들에게 영향을 주었고, 특히 드뷔시(Claude Debussy, 1862–1918)에게는 새로운 음악적 가능성으로 다가왔습니다. 당시 유럽에서는 러시아 음악이 이국적이고 색다른 인상으로 받아들여졌는데요. 이는 드뷔시가 추구하던 감각 중심의 음악 세계와 절묘하게 맞닿아 있었습니다. 

보로딘의 배경에 러시아 국기와 상트페테브루크 사진.
러시아의 민족주의 작곡가, 보로딘

드뷔시 음악 속 러시아적 요소의 흔적

드뷔시는 프랑스 인상주의의 선두주자로 평가되지만 그는 러시아 음악을 매우 좋아했습니다. 그는 특히 1889년 파리 만국박람회에서 러시아 작곡가들의 음악을 접한 이후, 드뷔시의 작곡 스타일은 더욱 유연하고 감각적으로 변모하기 시작했는데요.

그는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의 음색의 화려함과 섬세한 표현력, 음악의 회화성에 매료되었고, 알렉산드르 보로딘의 신선한 화성에 놀랐습니다. 그리고 사실 드뷔시는 이 민족주의 다섯명 중에 모데스트 무소르그스키를 가장 좋아했다고 합니다. 

 

무소르그스키와 러시아 민속의 도시들

모데스트 무소르그스키(Modest Mussorgsky)는 러시아 민족주의 음악의 대표 작곡가이자, 진정한 ‘러시아의 소리’를 구현한 인물로 평가받습니다. 그는 단지 작곡가가 아닌, 민중의 정서를 음악으

coworklabs.co.kr

 

드뷔시의 대표작인 '목신의 오후에의 전주곡(Prélude à l'après-midi d'un faune)'이나 ‘기쁨의 섬(L'Isle Joyeuse)’에서는 전통적인 화성에서 벗어난 음향 실험과 흐름 중심의 선율 전개가 신선하게 다가옵니다. 

이는 보로딘의 음악과 유사하게 즉흥적이면서도 감정의 흐름에 따라 음악이 전개되는 점에서 유사점을 찾을 수 있는데요. 특히 드뷔시의 화성과 리듬의 유동성, 특정 음정이나 스케일에 고정되지 않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구조는, 보로딘이 민속 선율을 처리한 방식과도 닮아 있는게 보입니다.

또한 드뷔시는 음악의 색채감을 중요시했는데, 이는 보로딘이 사용한 이국적 선법과 관현악적 색채와도 비슷합니다. 보로딘이 중앙아시아의 정서를 관현악으로 표현한 것처럼, 드뷔시도 바다, 달빛, 꿈 등 어쩌면 조금은 모호한 개념을 음악으로 묘사하며 음향 그 자체를 하나의 회화처럼 다루는 방식을 선보였습니다. 

 

드뷔시 외에도 프랑스 음악가가 보로딘의 영향으로 작곡한 짧은 피아노 소품이 있는데 그것은 제 다른 글에서 더 자세히 읽어보세요. 

 

[라벨 탄생 150주년] 모리스 라벨(Maurice Ravel) - A la maniere de Borodine, M. 63/1

올해 2025년은 프랑스 대표 작곡가 모리스 라벨(Maurice Ravel)의 탄생 150주년으로 일년 내내 크고 작은 라벨 관련 콘서트가 계속 있습니다. 저도 3월 말에 여의도에서 하는 작은 콘서트에 갔었는데요

coworklabs.co.kr

 

인상주의 음악과 민족주의 음악의 공통점과 차이점

인상주의 음악(드뷔시)과 민족주의 음악(보로딘)은 얼핏 보면 매우 다른 음악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 하나는 서유럽 중심의 예술 사조, 다른 하나는 민족 정체성을 강화하기 위한 운동에서 출발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자세히 들여다보면 두 흐름은 예상 외로 유사한 예술적 목표를 지니고 있습니다. 

첫째, 두 음악 모두 기존 전통에 대한 저항에서 출발했다는 것입니다. 보로딘은 러시아 고유의 음악 정체성을 표현하기 위해 서유럽 중심의 클래식 양식을 거부했고, 드뷔시는 독일 중심의 낭만주의 음악에서 벗어나 보다 감각적이고 직관적인 음악 세계를 추구했습니.

둘째, 두 작곡가 모두 자연과 감정을 음악으로 묘사하려 했다는 것입니다. 드뷔시가 바다나 달빛같은 분위기를 그려냈듯, 보로딘도 드넓은 러시아 대지나 민중의 삶을 음악에 담았습니다.

하지만 차이점은 보로딘은 민족적 정체성을 중심에 두고 민속 선율을 직접적으로 인용하거나 변형했지만 드뷔시는 특정 민족성을 강조하기보다 개인적 감성과 인상을 우선시했습니다. 또한 보로딘은 주로 관현악적 구성을 통한 드라마틱한 전개를 선호했던 반면에 드뷔시는 음향 자체의 질감과 조화에 더 집중했습니다.

결국 두 작곡가는 각기 다른 출발점에서 비슷한 예술적 지점을 향해 나아갔지만 드뷔시가 보로딘을 포함한 러시아 음악에서 구조가 아닌 감성의 자유를 배웠다는 점은 어떻게 두 다른 음악이 하나의 음악적 혁신으로 발전했는지를 잘 보여줍니다.

드뷔시와 보로딘은 시대적, 지리적, 철학적으로 차이를 가졌지만, 음악이라는 예술을 통해 서로 다른 세계를 연결했습니다. 드뷔시는 러시아 민족주의 작곡가들로부터 형식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감성과 선율 감각을 흡수하며 자신의 인상주의 세계를 더욱 풍요롭게 만들었습니다. 그들의 음악을 함께 비교 감상하면, 단순한 차이점보다도 서로의 공통된 예술 정신이 더욱 선명하게 드러납니다. 이처럼 경계를 넘어선 예술적 영향은 오늘날 우리가 음악을 감상할 때도 다양한 시각과 깊이를 제공합니다.

반응형